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극장판 페어리 테일: 드래곤 크라이

덤프버전 :

극장판 페어리 테일: 드래곤 크라이 (2017)
Fairy Tail the Movie: Dragon Cry
劇場版 FAIRY TAIL -DRAGON CRY-
파일:2ae62a29991a41e0bb7b9221098b08d2.jpg
장르애니메이션, 액션, 판타지
감독미나미카와 타츠마
각본요네무라 쇼지
원작마시마 히로
제작마시마 히로
주연카키하라 테츠야, 히라노 아야, 쿠기미야 리에
나카무라 유이치, 오오하라 사야카
음악타카나시 야스하루
제작사파일:일본 국기.svg A-1 Pictures
수입사파일:미국 국기.svg FUNimati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J E&M
배급사파일:일본 국기.svg GAGA
파일:미국 국기.svg FUNimati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J E&M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17년 8월 1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5월 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5월 31일
상영 시간85분
제작비-
월드 박스오피스$1,385,214(2018년 5월 27일 기준)
북미 박스오피스$519,461(최종)
대한민국 총 관객 수5,295명(최종)
흥행 성적약 21.5억엔
상영등급12세 관람가


1. 개요
2. 시놉시스
3. 예고편
4. 성우진
4.2. 주연
4.3. 기타
5. 용어
6. 주제곡
7. 평가
8. 흥행
9. 기타



1. 개요[편집]


페어리테일: Dragon Cry》는 일본만화 페어리 테일의 두번째 극장판이다. 일본에서는 2017년 5월 6일에 개봉. 한국에서는 2018년 5월 31일 개봉했다.

그 힘은... 희망인가 파괴인가...

너는 모든 것을 파괴하는 자 E.N.D

- 캐치프레이즈 -


2. 시놉시스[편집]



죽은 용들의 분노와 슬픔이 깃든 지팡이, ‘드래곤 크라이’!
과연 ‘페어리 테일’은 빼앗긴 지팡이를 되찾고, 세계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인가?!

피오레 왕국의 신전엔 용들의 분노와 슬픔이 봉인된 지팡이 ‘드래곤 크라이’가 잠들어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엄청난 힘을 지닌 전설의 지팡이는 왕국의 반역자 ‘재쉬’에게 빼앗겨 스텔라 왕국의 국왕 ‘아니무스’의 손에 넘어가게 된다.
세계 최강의 마도사 길드 ‘페어리 테일’은 ‘드래곤 크라이’의 회수를 의뢰 받고 스텔라 왕국에 잠입하게 되는데…
과연 ‘페어리 테일’은 ‘드래곤 크라이’를 제자리에 돌려놓고 세계를 구해낼 수 있을까?

‘페어리 테일’의 운명을 건 최후의 전투가 시작된다!


3. 예고편[편집]


티저 PV

한국 30초 PV

한국 메인 PV

4. 성우진[편집]



4.1. 페어리 테일[편집]



4.2. 주연[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피오레 왕국 국무차관에서 스텔라 왕국에 망명, 인정 받은 국무장관이자 만악의 근원. 전작의 더 디스트와 비슷한 케이스. 좀 다른 게 있다면 디스트의 경우는 불사의 힘이 있단 걸 크림 왕자에게서 듣고 탐냈지만 재쉬는 예전부터 알고 있었고 처음부터 피오레 왕국을 멸하려고 알았던 모양이다. 상대방을 조종하는 마법을 다루며 단순히 마법 외에도 체술 능력또한 뛰어나다. 자기를 왕국 최강이라 칭하지만 전작의 디스트보다 위력도 떨어지고 나중엔 루시의 카프리콘에게 발차기로 얼굴을 얻어맞고 후퇴하는 추한 꼴을 보여준다. 아니무스 왕을 따르곤 있지만 별로 신뢰하는 기색이 없으며 드래곤 크라이를 이용해 피오레 왕국을 날려버리겠단 일념으로 협력하고 있던 모양이다. 결국 아니무스를 조종하고 피오레 왕국을 멸하려한 최종보스가 되나 싶었지만... 드래곤 크라이의 마력에 결국 먹혀버리고 만다. 일례로 오리지널 애니인 별하늘의 열쇠편에 엔젤이 추악한 천사에게 고깃덩이가 될뻔한 사건과 비슷하지만 이쪽은 먹혀버린다. 포스도 없고 찌질하고 악랄한데다 신성한 피라는 개소릴하며 루시를 납치해 비명을 듣고 싶다는 헠헠거림 탓에 포스도 멋도 없다. 게다가 초반에 루시에게 헬렐레거려 반지까지 빼앗겼으니 말다했다. 이런 추태를 내세워 영화를 망치고 싶진 않은지 제작진이 페이크 최종보스로 넣었다.팬들의 반응은 당연히 대호평

스텔라 왕국의 현재 국왕으로 드래곤 크라이를 간절히 원하는 인물이다. 극장판 전작의 비슷한 포지션인 크림 왕자처럼 자기 사욕에 충실한 찌질인줄 알았으나... 그 정체는 놀랍게도 과거 아크놀로기아에 의해 패한 드래곤중 한명이였다. 현재 소냐의 몸에 기생하며 살고 있었지만 시간이 없었다고 하는걸로 보아 힘을 점점 잃어가고 있었던 모양이다. 이후 소냐의 체내에서 빠져나와 불완전하다지만 나츠를 리타이어 시킬 정도로 드래곤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이후 드래곤 크라이를 삼켜 진 최종보스 등극. 강력한 파괴력으로 나츠를 쓰러뜨리려 했지만 나츠의 진정한 힘에 패배한다. 여담으로 전투 도중 나츠의 진짜 정체를 알았던 모양이다.[1] 이후 소냐를 보고 눈물을 흘린 채 소멸했다. 그 다음엔 드래곤 크라이 또한 소냐가 파괴해 버렸다. 여담으로 찌질하게 생긴 주제에 자기 외모를 과시하던 크림 왕자와는 다르게 이쪽은 상당히 미형에다가 딱히 외모엔 관심없던 모양이다.

스텔라 왕국의 아니무스왕의 측근이자 재쉬의 부하로 전작의 에클레아와 비슷한 케이스를 가진 영화 히로인. 상대방의 위치를 감지하는 마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아니무스의 거짓 정보에 놀아나 드래곤 크라이를 나츠에게 넘겨주려했으나 실제론 아니무스 왕이 드래곤이었고 그녀의 체내에서 살고 있었다. 이후 아니무스가 불완전하게 그녀의 몸속에서 빠져나와 이쪽도 죽는 게 아닌가 했지만 마지막까지 생존. 이래저래해도 어니무스를 좋아했던 것 같다.[2] 여담이지만 과거에 아크놀로기아와 인연이 있던 모양이다.[3]

스텔라니움을 발에 두르고 발차기를 주공격으로 삼는 여우귀를 한 여성. 봉쿠레처럼 발레를 이용해 공격한다. 상대는 엘자로 이쪽 계열엔 꽤 미녀로 모든 남성을 유혹하며 다니는 모양. 이후 엘자와의 두 번째 격돌에서 엘자의 발차기에 아름답다고 일갈하곤 모든 남성을 유혹하려면 이 정도는 필요하다고 하지만 엘자가 유혹은 한 사람으로도 충분하다고 말하며 천체 마법으로 그녀를 쓰러뜨린다. 패배했는데 어째 당하거나 기절한 묘사가 없어서 죽었거나 땅에 묻힌 모양인줄 알았으나 엔딩 크레딧에 멀쩡하게 등장한다.

근육을 강조하는 캐릭터로 어째 극장판 전작의 캐넌과 비슷하다.근데 얘는 유혹은 딱히 안한다. 빅스로처럼 인형을 다루는 마법을 사용하며 자기 딸이라 칭한다.중증 인형 덕후. 붉은 머리에 포니테일을 한 인형이 캐서린, 금발의 롤머리를 한 인형이 프랑소와로 입에서 불꽃을 발사한다. 주 상대는 그레이로 캐넌처럼 쥬비아 콤비에 패배해버리고 만다. 그레이의 멸악마법에 리타이어했으나 죽진 않고 엔딩 크레딧에 등장한다.

스텔라니움을 기체로 타고 다니며 공격하는 소년으로 주 상대는 웬디와 샤를. 웬디의 상대답게 바람을 어느 정도 다루는 실력을 가졌으며 스피드 계열로 빠르게 이동하며 부딪히며 공격한다. 이후 웬디와 샤를의 합공에 구체에서 떨어지고 두 사람의 펀치에 리타이어. 스완이나 돌에 비하면 적당한 리타이어를 당한 캐릭터다.

4.3. 기타[편집]



5. 용어[편집]



  • 드래곤 크라이
드래곤들의 분노, 슬픔, 고통을 간직한 지팡이로 이 극장판의 핵심 물건. 본래의 힘이 나라 하나를 멸망 시킬 정도라 위험해서 멀리 봉인했다. 원래는 피오레 왕국에서 보관하던 소지품이였으나 재쉬가 훔쳐갔다. 어니무스 왕이 필요로 한 물건이였으나 재쉬 본인 또한 자신을 내친 피오레 왕국에 복수하려 사용한다. 극장판 전작의 봉황과는 많이 다르며 이쪽은 그냥 이용하면 그만인 물건이다. 다만 마력이 엄청난지 재쉬는 이 드래곤 크라이에 먹혀버렸다. 최후의 격돌이 끝나곤 소냐가 부서버렸다. 원래의 모양은 평범한 리본이였다.

  • 스텔라니움
스텔라에서 나는 보석으로 별빛을 받으면 더 아름답게 빛나는 보석이라고 한다. 작중 소냐가 어니무스에게 낚여 별빛을 많이 받아 폭주한다고 속았지만 역시 그냥 아름답게 빛나는 보석에 불과했다. 루시에 발언에 따르면 스텔라 왕국엔 꼭 필요한 자원이라고 한다. 무기로도 사용되며 스완은 발에 착용해서 공격한다. 꽤 단단한듯 발차기 한방에 엘자가 잠시 그로기 상태가 되었다. 더불어 가프리가 타고다니는 구체도 스텔라니움으로 만든걸로 추정된다.



6. 주제곡[편집]




7.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66482|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8.87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8.87 / 10
]]
평점 없음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8.7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0%





8. 흥행[편집]


출처 :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단위 :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2017년 5월 6일$1,385,2142017년 8월 27일
개별 국가
북미2017년 8월 14일$519,4612017년 8월 19일
일본2017년 5월 6일$478,1182017년 5월 7일
멕시코2017년 5월 26일$137,7212017년 5월 28일
오스트레일리아2017년 5월 18일$105,2512017년 5월 28일
영국2017년 5월 19일$57,4982017년 5월 21일
태국2017년 5월 18일$44,0502017년 5월 28일
아르헨티나2017년 8월 10일$23,3322017년 8월 13일
뉴질랜드2017년 5월 18일$18,1992017년 5월 28일
파라과이2017년 8월 21일$1,5842017년 8월 27일

8.1. 일본[편집]


$478,118을 벌었다.

8.2. 미국[편집]


2017년 8월제한적 상영으로 개봉. 미국 영화 시장에서의 흥행 수익이 일본 영화 시장에서의 흥행 수익을 앞섰다.

8.3.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403명403명미집계4,645,000원4,645,000원
1주차2018-05-31. 1일차(목)678명-명18위5,277,200원-원
2018-06-01. 2일차(금)394명16위3,405,000원
2018-06-02. 3일차(토)-명-위-원
2018-06-03. 4일차(일)-명-위-원
2018-06-04. 5일차(월)-명-위-원
2018-06-05. 6일차(화)-명-위-원
2018-06-06. 7일차(수)-명-위-원
2주차2018-06-07. 8일차(목)-명-명-위-원-원
2018-06-08. 9일차(금)-명-위-원
2018-06-09. 10일차(토)-명-위-원
2018-06-10. 11일차(일)-명-위-원
2018-06-11. 12일차(월)-명-위-원
2018-06-12. 13일차(화)-명-위-원
2018-06-13. 14일차(수)-명-위-원
3주차2018-06-14. 15일차(목)-명-명-위-원-원
2018-06-15. 16일차(금)-명-위-원
2018-06-16. 17일차(토)-명-위-원
2018-06-17. 18일차(일)-명-위-원
2018-06-18. 19일차(월)-명-위-원
2018-06-19. 20일차(화)-명-위-원
2018-06-20. 21일차(수)-명-위-원
4주차2018-06-21. 22일차(목)-명-명-위-원-원
2018-06-22. 23일차(금)-명-위-원
2018-06-23. 24일차(토)-명-위-원
2018-06-24. 25일차(일)-명-위-원
2018-06-25. 26일차(월)-명-위-원
2018-06-26. 27일차(화)-명-위-원
2018-06-27. 28일차(수)-명-위-원
합계 누적관객수 1,475명, 누적매출액 13,327,200원[4]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세라비, 이것이 인생!, 데자뷰, 라스트 미션, 라이크 크레이지, 꼬마영웅 바비, 스탠바이, 웬디, (이상 2018년 5월 30일), 극장판 페어리 테일: 드래곤 크라이, 디트로이트, 미세스 하이드, 미켈란젤로: 사랑과 죽음, 산타모니카 인 러브, 정글, 제로 아워 킬러, 제한 구역(이상 2018년 5월 31일)까지 무려 15편이다.

전작인 봉황의 무녀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극장판 등을 수입했던 '머스트 씨 무비'였던 반면(출처)[5], 해당 작품은 CJ E&M 계열에서 수입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유는 불명.블로그(@).# 5월 31일에 개봉 되었다. 이후 예고편 영상이 떴는데 자막판으로 개봉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빙판도 나올지는 불명

박스오피스 10위권에도 진입하지 못하는 등 최종 관객은 전작의 절반 수준인 5,295명으로 집계되었다.

8.4. 중국[편집]


2018년 내 개봉 목표이나 2022년 8월 현재도 소식이 없다. 2018년 3월에 광전총국에 검열 신청이 들어갔다. 검열 통과해야 개봉 가능. 중국은 심의가 아니라 검열이다.


8.5. 기타 국가[편집]



9.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2:27:30에 나무위키 극장판 페어리 테일: 드래곤 크라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END에 대해 어떻게 알았는지는 모르나 그것에 대해선 확실히 알고 있던 모양이다. 아마 시대가 변하는 와중에도 왕으로서 현존하고 있으니 어둠의 길드에 대해서도 조금 알았던 모양이다.[2] 이용당함을 알았어도 그를 옹호해주고 다정하다고까지 했다.[3] 최후반부, 드래곤 크라이의 진짜 모습인 리본이 날아가 아크놀로기아에게 도달했다. 이후 아크놀로기아가 회상을 하는데, 오래전 드래곤의 무덤에서 소냐를 쳐내면서 잡아먹으려했던 드래곤들을 전부 쓰러뜨리고 소냐에게 지켜주지 못했다며 떠났다. 떠난 이후, 어니무스만이 간신히 살아 소냐의 생사를 확인하곤 그녀의 체내에 들어가 여태까지 살아왔던 것이다.[4] ~ 2018/06/01 기준[5]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아이마스 극장판 등을 수입해서 논란이 있던 크래커픽쳐스 계열의 '머스트씨 무비 릴리징'과는 전산상으로는 다른 회사로 되어있다. 아이마스 심의 링크 다만 대표자 명이 동일해서 완전히 다른 회사인지는 불명.[6] 웬디가 자의적으로 드래곤포스를 사용하고 루시는 신기술인 스타 드레스 시전, 그레이가 멸악마법을 사용할 때 검은 문신이 전개되는 등의 장면들이 나온 것을 보면 적어도 X792때와 동일 혹은 그 후의 시점인 것은 확실하다.[7] 원작에서는 마지막에 제레프, 메이비스, 아크놀로기아가 죽는다

관련 문서